“산업 경쟁력·첨단 기술 강국·개방적인 경제 운용 강점 내세워야”
2026년 한국이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를 넘는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한국이 경제 규모와 기술력에서 주요 7개국(G7) 그룹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를 위해 경제안보와 공급망 관련 글로벌 이슈에서 주도권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28일 민간 싱크탱크 니어재단은 ‘한국의 주요 G7 플러스 가입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포럼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국가적 역량이 여러 지표에서 G7 가입 자격을 충족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에 따르면 한국은 2018년 이미 국민총소득(GNI) 3만달러를 돌파했고 전세계 국내총생산(GDP) 비중도 1.67%로 증가하고 있다. 이 교수는 “기술력과 혁신 능력에서도 GDP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이 세계 2위이고, 반도체 시장 점유율에서도 세계 2위”라며 “글로벌 공급망도 주도하고 있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기존 회원국 간 합의 문제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은 한계다. 한국이 정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G7 회원국 모두의 만장일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외교와 경제, 전략적 고려 사항에 따라 합의가 어려울 수 있다”며 “특히 각국의 국익과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모든 회원국의 동의를 얻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와 브라질,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과도 경쟁해야 한다.
이때문에 한국이 경제안보와 글로벌 공급망 이슈를 선점해 한국의 강점을 극대화할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은 “G7 플러스 확대 논의에 있어서는 우리가 가진 산업 경쟁력, 첨단 기술 강국, 그리고 무엇보다 자유 민주주의와 개방적인 경제 운용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국은 반도체·배터리·제약·방산 등과 같은 핵심 산업에서 글로벌 공급망 강화를 옹호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탄력적이고 다양한 공급망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제안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덕구 니어재단 이사장은 “G7 플러스에 가입하면 국가적 품격과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지키기 위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며 “국가 원수, 고위 공무원, 모든 국민이 협력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