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창작 오페라 '처용'이 9일(현지시간) 문화와 예술의 나라 프랑스 무대 위에 올랐다.
국립오페라단과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이날 오후 파리 오페라코미크 극장에서 '처용'을 초연했다.
ADVERTISEMENT
이번 공연은 2024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한국의 클래식을 해외에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처용'이 오른 오페라코미크 극장은 조르주 비제의 카르멘, 쥘 마스네의 마농 등 여러 프랑스 오페라의 초연을 선보인 역사적 오페라 극장이다.
한국의 창작 오페라가 무대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ADVERTISEMENT
작곡가 이용조의 '처용'은 천년왕국 신라의 설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하늘을 다스리는 신 옥황상제가 부패한 신라를 멸하려 하자, 그의 아들 처용이 신라를 구하겠다며 지상에 내려와 여인 가실과 사랑에 빠지고 오히려 타락한다는 줄거리다.
1986년 국립오페라단에 의해 위촉 초연됐다.
ADVERTISEMENT
소재가 한국적인 데다 한국어로 공연이 이뤄진 만큼 이날 현지 관객들을 위해선 무대 주변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한국어와 프랑스어 자막이 함께 제공됐다.
1시간 30분간의 공연이 끝난 뒤 객석 곳곳에선 기립 박수도 터져 나왔다.
오페라의 본고장인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근무한다는 프란체스카는 공연 뒤 "내용이 다소 어렵긴 했지만, 음악과 성악가들의 노래가 굉장했다"고 평가했다.
ADVERTISEMENT
현지 문화계 주요 인사로 초대된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한국 이야기에 굉장히 관심이 많지만 처용 이야기는 오늘 처음 알게 됐다"며 "긴장이 풀어지는 부분이 많지 않고 드라마가 가득했다.
연출과 등장인물들의 노래가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관객들의 반응은 무대에 선 성악가들도 생생히 느꼈다고 한다.
현재 독일 마이닝겐 국립극장 전속 솔리스트로 활동 중인 주인공 '처용'역의 테너 김성현은 "노래하면서 관객들을 봤는데 생각보다 눈빛들이 반짝이는 걸 보니 '우리가 잘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내 언어, 한국어로 유럽에서 오페라를 한다는 게 신선하고 좋았다"고 말했다.
작곡가 이용조씨도 "오늘 공연을 본 몇몇 분이 한국에 가보진 않았지만 아시아 정신이 서양 기법에 녹아들었다고 얘기하더라"며 "이런 오페라 공연을 해외에 선보일 수 있다는 게 감회가 새롭다"고 말했다.
최재철 주프랑스 한국 대사는 이번 공연이 한류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주는 사례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최 대사는 "한류에 꼭 케이팝만 있는 게 아니라, 다양한 문화가 있고 그 뿌리가 깊다는 걸 보여주는 중요한 공연이었다"며 "아이돌 그룹 위주의 공연에서 클래식으로 넓혔다는 점이 의미 있다"고 기뻐했다.
오페라 '처용'은 이날 파리 공연에 이어 11일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 콘서트홀, 13일 오스트리아 빈 무지크페라인 황금홀에서도 무대에 오른다.
미국의 중재로 성사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부분 휴전 합의를 두고 러시아가 휴전의 전제 조건으로 ‘제재 해제’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의 요구에 선을 그으면서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확고히 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부분 휴전 협정이 실제로 이행되기까지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26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아니타 히퍼 EU 외교안보 담당 대변인은 입장문을 통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도발적이고 부당한 침략을 끝내고 모든 러시아 군대를 무조건 철수하는 것이 제재 해제의 전제 조건”이라고 밝혔다. 히퍼 대변인은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부분 휴전 합의는 환영한다”면서도 “러시아는 불법적이며 정당한 이유 없는 침략 전쟁을 끝내려는 진정한 정치적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전날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는 삼각 협정을 통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에서 전쟁을 멈추고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상호 공격을 30일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부분 휴전이 이행되려면 농식품, 비료 수출에 대한 서방의 제재가 해제되는 것이 우선이라고 주장했고 이에 미국은 돕겠다는 의지를 밝혔다.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유럽이 수용할 수 없는 조건을 앞세워 휴전을 일부러 지연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도 러시아가 일부러 휴전 협상을 지연시키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한 미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크렘린궁이 휴전 협상을 질질 끌고 있는 것일 수 있다”고 말하며 자신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됐던 셰일 업계가 예상과는 달리 생산 비용 급등으로 고전하고 있다는 댈러스 연방은행의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각종 관세 부과 조치와 그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오히려 석유 업계의 생산 활동이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제기된다.2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댈러스 연은이 최근 셰일 기업 130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30%는 “작년 말 이후 사업 전망이 악화했다”는 평가를 했다. 특히 지난 1분기에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응답자들은 미국 최대 셰일 오일·가스 생산지인 ‘퍼미안 분지’에서 사업을 영위 중이다. 이곳은 미국 전체 원유 생산량의 약 40%를 담당하는 핵심적인 에너지 공급원이다.이번 조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한 이후 처음 실시된 설문조사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불만이 고스란히 담겼다. 업계 경영진들은 “유가가 추가로 하락할 경우 업계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종가 기준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69.65달러다. 셰일 유전은 고갈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산량을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자본 투입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라피단 에너지 그룹의 선임 분석가 헌터 콘파인드는 “이번 설문조사는 트럼프가 내세운 ‘드릴, 베이비, 드릴’에 대한 시장의 회의론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이어“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추가적인 생산 비용’”이라며 “배럴당 50달러의 유가는 원유 생산에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불확실성이 계속되면 생산자들
일본 정부가 올해 외교청서 원안(原案)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진전을 "심각하게 우려해야 할 일"로 평가했다. 외교청서는 일본 정부가 국제정세와 외교활동 전반을 정리해 매년 4월께 펴내는 백서다.2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러시아가 북한에서 조달한 탄도미사일, 탄약 등을 사용하는 점을 사례로 들면서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일본 주변의 안보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외교청서 원안을 통해 언급했다.또 한국이 국제사회의 여러 과제에서 협력해야 할 중요한 이웃 나라라고 평가하고 "한일 관계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대북 대응을 위해 한미일 3개국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외교청서 원안은 미국과 관련해, 올해 2월 양국 정상회담에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실현을 위한 긴밀한 협력을 확인했다며 공고한 신뢰 관계 구축을 강조했다.중국에 대해서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등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를 지목하고 "많은 과제와 현안이 존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대만 해협을 둘러싸고는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