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서서 김밥 사먹는 미국인들…한국 김, 수출 1조원 찍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의 김이 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1일 올해 김 수출이 1조원(7억7000만달러)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역대 한국 수산식품수출 최고 실적이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조미김. 연합뉴스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조미김. 연합뉴스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 한류의 영향으로 김은 전 세계에서 점점 친숙한 음식이 되고 있다. 김을 원료로 하는 김밥은 미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모으기도 했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전통적인 수출시장뿐만 아니라 중동, 남미와 같은 신규 시장을 개척한 결과 김 수출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8% 증가했다. 수출국도 2010년 64개국에서 올해 124개국으로 거의 2배가 됐다. 김 제조 기업은 와사비 맛 스낵김 등 다양한 풍미의 김 제품을 개발해 전세계 시장을 두드리고 있다.

김은 2019년부터 수산식품 수출액 1위를 지켜왔다. 수출액은 2010년 1억1000만달러에서 2015년 3억달러, 2017년 5억1000만달러, 2021년 6억9000만달러까지 늘었다가 작년에는 6억5000만달러로 감소한 바 있다.

세계 김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9억1800만달러로, 한국은 70.6%의 점유율로 1위다.

한국 김이 수출되는 상위 5개국은 미국, 일본, 중국, 태국, 러시아 순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미국, 일본, 중국, 태국 등 4개국이 수출의 61.4%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김은 조미김(67%)과 마른김(33%) 형태로 수출된다.

해수부는 우리 김을 세계인들의 입맛에 맞는 기호식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김 산업계의 국제 인증 취득, 수출바우처 제공, 해외 무역상담회 참여 등 매년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3월 김산업 진흥구역을 3곳(신안·해남·서천군)를 최초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9월에는 법정계획인 제1차 김산업 진흥 기본계획(2023∼2027년)을 수립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