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 안 나는 한국, 재생에너지는 오히려 기회…탄소중립은 어느 정부든 거스를 수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프랑스 투자은행 소시에테 제네랄의 오석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 전망과 경쟁력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소시에테 제네랄은 1864년 프랑스의 산업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역사 깊은 은행으로 기업금융과 투자운용업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한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 움직임에 발맞춰 파리 기후협약 이행을 위한 자체 정책을 만드는 등 녹색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ADVERTISEMENT
원전 역시 소시에테 제네랄이 주목하는 녹색 전환 활동의 일부분이다. 소시에테 제네랄은 지난 5월 아시아 원전 바스켓을 구성하고 7월에는 글로벌 원전 바스켓을 구성해 ESG 섹터에 분류하는 등 원전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도 늘려가고 있다.
다만 그는 탄소중립이 구조적으로 물가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오 이코노미스트는 “탄소중립은 그린플레이션을 불러올 수밖에 없지만 그 누구도 노력하지 말자는 얘기는 하지 않는다”며 “지금 당장은 비용이 늘어나도 후세까지 생각하면 결국엔 비용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난이 닥쳐 석탄발전 등 탄소 다 배출 에너지원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에너지 가격이 다 오른 상태에서 굳이 석탄을 선택할 이유도 없다”며 “독일 등 일부 국가의 경우 자체적으로 석탄을 생산하기 때문에 선택 폭이 작지만 한국은 상대적으로 이런 점에서는 자유롭다”고 했다.
ADVERTISEMENT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