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홀린 우영미·도쿄 오픈런 마뗑킴…글로벌 패션 'K'를 입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진격의 K웨이브
(6) OEM 거점서 브랜드 강국으로…트렌드 리더가 된 K패션
우영미, 런던·파리 명품거리 입성
연매출 6000억 '차세대 럭셔리'
젠틀몬스터 기업가치 3兆 웃돌아
"돈 벌면 마뗑킴 산다" MZ들 열광
日 시부야 팝업 첫날 3000명 몰려
제조기술·트렌드·디자인 등 강점
콧대 높은 유럽 바이어들도 만족
(6) OEM 거점서 브랜드 강국으로…트렌드 리더가 된 K패션
우영미, 런던·파리 명품거리 입성
연매출 6000억 '차세대 럭셔리'
젠틀몬스터 기업가치 3兆 웃돌아
"돈 벌면 마뗑킴 산다" MZ들 열광
日 시부야 팝업 첫날 3000명 몰려
제조기술·트렌드·디자인 등 강점
콧대 높은 유럽 바이어들도 만족

K콘텐츠에서 시작된 K웨이브는 패션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세계 최강 의류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들의 제조 기술력,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층, 한류 등을 토대로 한국을 대표하는 K패션 브랜드가 탄생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ADVERTISEMENT
日 ‘MZ 패션 성지’ 뒤집은 마뗑킴
K명품 후보로 거론되는 패션 브랜드는 우영미뿐만이 아니다. 젠틀몬스터, 아더에러, 앤더슨벨, 렉토, 마뗑킴 등이 글로벌 시장에서 이름을 알리고 있다.아이웨어로 유명한 젠틀몬스터 운영사 아이아이컴바인드는 지난해 6082억원의 매출 가운데 2000억원 이상을 해외에서 벌어들였다. 아이아이컴바인드는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사모투자운용사 앨캐터톤아시아가 600억원을 투자했을 정도로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차세대 한국의 력셔리주’로 불리는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3조원대 중반으로 평가된다.
2014년 출범한 아더에러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먼저 주목받은 브랜드다. 장르와 성별의 경계를 허문 해체주의 콘셉트로 글로벌 팬덤을 구축한 아더에러는 소속 디자이너와 매출 등을 공개하지 않아 더 주목을 끈다.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제품을 판매 중이며, 최근엔 일본에 직진출했다.
ADVERTISEMENT
2015년 블로그마켓으로 시작한 마뗑킴은 2021년 브랜드 인큐베이터 하고하우스의 투자를 받아 K패션 대표 브랜드로 성장했다. 지난해 연매출 1000억원을 넘기며 메가 브랜드 반열에 오른 마뗑킴은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확 달라진 K패션 브랜드 위상
글로벌 패션업계에선 한국이 제조 강국에서 브랜드 강국으로의 도약에 시동을 걸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제 개발이 본격화된 1970년대 섬유류 수출은 전체 수출의 약 50%를 차지했다. 이후 영원무역, 한세실업 등 해외 브랜드의 하청을 받아 주문 내용대로 생산하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이 성장했다. 2000년대 들어 이들은 디자인, 기획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며 ODM 업체로 세계 시장을 주도했다.ADVERTISEMENT
도쿄=양지윤/전설리 기자 ya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