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8년 만의 정권 교체에…한국 방산 '불똥' 튀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 정부가 추진 정책·사업 번복 가능성
폴란드 하원의장 "합의 무효가 될 수도"
폴란드 하원의장 "합의 무효가 될 수도"

12일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폴란드 하원에서 11일 실시된 도날트 프란치셰크 투스크 총리 후보에 대한 찬반 투표에서 찬성 248표, 반대 201표로 투스크 총리의 지명이 확정됐다. 앞서 집권당이었던 '법과정의'(PiS) 소속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현 총리에 대한 신임 투표는 부결됐다.
ADVERTISEMENT
신임 총리는 그간 유럽연합(EU)과 거리를 뒀던 이전 정부의 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 시절부터 한국산 무기 도입에 반대 의견을 내온 만큼 국내 기업들의 수출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 야권 연합의 일원인 '폴란드 2050' 소속의 시몬 호워브니아 하원의장도 전날(10일) 폴란드 민영 방송 '라디오 제트'에 "PiS 임시 정부가 서명한 합의는 무효가 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국내 방산업체들은 '비상'이 걸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경우 지난 4일 폴란드 군비청과 3조4474억원 규모 K9 자주포 152문 2차 수출 실행계약을 맺었다. 이 업체는 지난해 기본계약에서 △FA-50 경공격기 48대 △K2 전차 1000대 △K9 자주포 672문 △다연장로켓 천무(한화에어로스페이스) 288대 등을 공급하는 내용도 체결했다.
ADVERTISEMENT
방산업체 관계자는 "폴란드가 한국 무기 외의 다른 대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존 계획을 쉽게 바꾸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하지만 향후 계획됐던 K9 자주포, K2 전차 등 잔여물량에 대해 물량이 다소 축소되거나 폴란드에 유리한 조건이 제시될 수는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폴란드의 현 정부인사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현 국방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그들은 한국으로부터 들여올 장비를 폴란드 군수산업의 장비로 대체할 것이라고 대중영합적인 이야기를 할 것"이라며 "결국 아무 것도 얻지 못한다"고 우려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