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더 긴 여름휴가를 보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름 휴가비를 지급하는 기업은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다.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25년 여름휴가 실태 및 경기 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전국 5인 이상 528개 기업)의 91.1%가 올해 여름휴가를 시행한다고 했다. 휴가 일수는 평균 3.7일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별로 300인 이상 기업은 ‘5일 이상’이 64.7%로 가장 많았고, 4일(19.6%), 3일(15.7%) 순이었다.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은 ‘3일’이라는 응답이 45.8%로 가장 많았다.휴가 기간은 업종별로 달랐다. 제조업은 주로 7월 말이나 8월 초에 1주일 정도 집단 휴가를 시행하는 비중이 77.3%에 달했다. 비제조업은 1~2개월에 걸쳐 휴가를 실시하는 기업이 73.6%를 차지했다.기업의 53.9%는 올해 여름 휴가비를 지급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전년(56.5%)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여름휴가 지급 기업 비중은 300인 이상 기업(63.3%)이 300인 미만 기업(52.7%)보다 10.6%포인트 높았다.신정은 기자
가팔랐던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달 들어 둔화하고 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한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규제 시행 전 밀려든 대출 신청이 상당했음을 고려하면 가계대출 규모가 줄어들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1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5조7260억원으로 지난달 말(754조8348억원)보다 8912억원 늘었다. 하루 평균 증가액은 약 891억원으로 지난달(2251억원)보다 60.4% 감소했다.대출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담대(전세대출 포함) 잔액이 600조8023억원으로 지난달 말보다 1조3773억원 늘었다. 하루 평균 증가액은 1377억원으로 6월의 72% 수준이다. 신용대출은 전달보다 3887억원 감소했다.은행 대출 승인 건수는 줄지 않았다는 점에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단숨에 멈추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예컨대 A은행이 이달 승인한 주담대(10일 기준)는 하루 평균 372건(1035억원)으로 6월(평균 293건·746억원)보다 많았다. 다른 은행들의 상황도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6·27 부동산 대책(지난달 28일)과 3단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달 1일)이 시행되기 전 쏟아진 ‘막차’ 대출 신청에 대한 심사와 승인이 차례대로 이뤄지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청 후 대출금을 받기까지 한두 달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가계대출 증가세가 9월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정부는 규제를 우회한 ‘꼼수 대출’을 봉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르면 이달 부동산 매매를 위한 불법 대출 여부를 확인하고자 전 금융권을 상대로 현장 점검
한국은행이 새 정부의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계기로 정부의 거시경제 감독 권한 일부를 넘겨받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13일 정부와 한은 등에 따르면 한은은 거시건전성 정책 수단을 보유하고, 금융안정 관련 기구 내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의 금융안정 정책 체계 개편안을 국정기획위원회에 전달했다.한은은 금융위원회가 보유한 신용·자본·유동성 등의 규제 권한 중 일부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가져와야 한다는 견해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담보인정비율(LTV) 등과 관련한 규제 결정권을 염두에 두고 있다. 금융회사 단독검사권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금융당국은 한은의 권한 강화 요구 에 대체로 부정적 입장이다. 외국에서도 중앙은행이 DSR, LTV 등 거시건전성 정책을 직접 시행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금융회사들은 한은이 은행 등의 단독검사권을 갖게 되면 중복 검사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좌동욱/서형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