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21%↑·컴퓨터 55%↑ 수출증가 전망…"글로벌 메모리반도체 매출 73%↑" "세계경기 위축…中, 경기둔화 속 기회요인 있을 것"
반도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가전 등 5대 정보기술(IT) 품목이 올해 수출 성장세를 주도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ADVERTISEMENT
한국무역협회는 30일 서울 강남구 트레이드타워에서 '2024년 무역 현안 관련 언론 간담회'를 열고 "반도체 수출은 스마트폰, PC 등 전방 IT 품목의 수요가 개선되면서 성장세 반등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3대 주력 품목 가운데 반도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가전 등 IT 품목의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전년 대비 5∼55%를 상회했다.
품목별 증가율 전망치를 보면 반도체 21.2%, 컴퓨터 55.4%, 무선통신기기 7.7%, 디스플레이 5.9%, 가전 5.1% 등이다.
ADVERTISEMENT
무협은 반도체의 경우 낸드·D램 단가가 상승하고 재고가 감소하면서 메모리·차세대 반도체 품목의 호조를 예상했다.
특히 올해 전자제품 수요가 늘면서 글로벌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73%까지 성장할 전망이라고 무협은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15억6천300만달러, 비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47억3천7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무협은 컴퓨터의 경우 전방 IT 기기 수요가 회복하면서 SSD 단가가 올라 전년 대비 수출 증가율이 55.4%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무선통신기기는 스마트폰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수출 호조가 예상된다.
가전은 북미 지역에서 프리미엄 가전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성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무협은 올해 수출에 영향을 미칠 단기적인 변수로 '세계 경제 위축'과 '중국 경기 둔화 속 기회 요인'을 꼽았다.
지난해까지 지속된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 효과가 올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세계 경제의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중국은 경제 성장세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여전히 거대 시장으로서 수출 기회가 존재한다고 관측했다.
올해 중국의 IT 수요는 9.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 세계 IT 수요 증가율 전망치(6.8%)를 상회한다.
미중 무역 갈등 및 지정학적 리스크도 올해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변수로 꼽힌다.
미중 갈등은 핵심 산업의 투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협은 "최근 5년간 1%포인트 내외로 증가해왔던 한국의 총수출 중 대미(對美) 수출 비중이 지난해 2.2%포인트 증가했다"며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산업에서 대미 투자 확대 및 대중(對中) 투자 축소가 나타났으며, 일부 한국 기업은 중국 내 산업 기반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으로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한솥도시락이 ‘2025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도시락프랜차이즈 부문 대상을 10년 연속 수상했다.1993년 창업한 한솥도시락은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 높은 메뉴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한솥도시락은 정규 도시락 메뉴 기준 평균 가격이 5936원으로 영양가 있는 따뜻한 한 끼 식사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엠브레인이 조사한 직장인 평균 점심값 9000원~1만원대에 비하면 약 30~40% 저렴하다.최근 가성비를 강조한 ‘막내 도련님’ 시리즈 3종(돈까스 막내 도련님, 제육 돈까스 막내 도련님, 칠리 찹쌀탕수육 막내 도련님)을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번 신메뉴 출시 가격은 3800원(칠리 찹쌀탕수육 막내도련님)과 4200원(돈까스 막내 도련님, 제육 돈까스 막내 도련님)으로 한솥도시락 평균 가격보다 더 저렴하다.한솥도시락이 가성비 높은 가격을 고수하는 것은 ‘고객 최우선주의’ 경영철학에서 비롯된다. 한솥도시락은 고객에게 고품질의 도시락을 제공하기 위해 신동진 단일 품종 무세미와 국내산 김치 등 엄선된 국내산 식재료를 사용하면서도 가격은 가성비 높게 선보이고 있다.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19년 코로나 팬데믹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가격을 유지하며 소비자와 함께 어려운 시기를 극복한 역사를 가진 한솥 지점은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815개점으로 확대했다. 한솥도시락 관계자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고물가에도 고객님들이 부담없이 든든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가성비 높은 메뉴를 지속 개발하며 고객 만족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김인엽 기자
김유신 OCI 대표가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김원현 OCI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대표를 맡게됐다. OCI는 전날 25일 주주총회를 통해 김 부회장과 김 대표의 선임안을 승인했다. 35년간 OCI 카본사업본부와 케미컬사업본부 등에서 주요 사업을 이끌어온 김 부회장은 앞으로 경영 전체를 총괄하게 됐다. OCI의 첨단 소재 및 고부가가치 사업 확장을 이끌 것이란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34년간 OCI 재무를 담당했던 김 대표는 재무건전성과 기업경쟁력 강화에 힘쓸 예정이다. OCI는 화학 분야 권위자인 유기풍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명예교수를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으로 신규 선임하기도 했다. OCI홀딩스는 김택중 부회장과 이수미 최고운영책임자 겸 최고재무책임자부사장를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신우성 전 금호피앤피화학 대표, 김필남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 교수를 선임했다.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이휘령 세아제강 부회장(대표이사·사진)이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는 아주 좋은 기회”라며 “현실화하면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알래스카에서 가스전을 개발해 수출하는 사업에 한국, 일본, 대만의 참여를 원하고 있다. 사업비가 최소 440억달러(약 64조원)에 이르는 초대형 프로젝트다.이 부회장은 지난 25일 서울 당주동 포시즌스호텔에서 본지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의 방한을 맞아 그와 저녁 식사를 하기 위해 호텔을 찾았다. 이날 오후 6시~9시 이뤄진 만찬에 참석한 기업은 세아제강이 유일하다. 그만큼 사업 참여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는 얘기다. 이 부회장은 “아직 사업이 초기 단계라 구체적인 참여 방안에 대해선 더 검토해봐야 한다”면서도 “좋은 사업임에는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만찬 자리에서 설명을 듣고 내부 검토해보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가스전이 있는 알래스카 북부 푸르도베이에서 뽑아낸 천연가스를 수출하려면 LNG 터미널이 있는 남부 니키스키까지 1300㎞ 거리의 가스관을 설치해야 하는 만큼 수요가 폭증하는 것이다.세아제강은 경북 포항공장에서, 세아제강지주는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