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출액 2억달러 처음 넘어…절반 이상 미국으로 수출 한국 음식 '건강식' 인식·한류 열풍 영향
즉석밥과 냉동 김밥, 떡볶이 등 K-푸드가 세계 각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1천723만9천달러(약 2천900억원)로 처음으로 2억달러를 넘었다.
ADVERTISEMENT
이는 전년(1억8천182만1천달러)보다 19.5% 증가한 것이다.
연간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015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2015년 5천434만2천달러에서 2016년 6천652만9천달러, 2017년 7천202만8천달러, 2018년 8천940만8천달러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9년 1억858만9천달러로 처음 1억 달러를 넘었다.
ADVERTISEMENT
이듬해인 2020년 1억3천804만9천달러, 2021년 1억6천401만달러, 2022년 1억8천182만1천달러에 이어 지난해 2억1천723만9천달러로 처음 2억달러를 돌파했다.
지난해 수출액을 수출국별로 보면 미국이 1억1천480만1천달러(52.8%)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이어 베트남(1천499만달러), 유럽연합(영국 포함·1천489만3천달러), 일본(1천258만3천달러), 호주(713만5천달러) 등의 순이었다.
ADVERTISEMENT
해외에서 우리 쌀 가공식품 수요가 늘어난 데는 간편식,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국내 쌀 가공식품 인기 요인은 다양하다"며 "전자레인지 조리 등으로 쉽고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양질의 제품이 많아진 것이 한 요인이고, 한국 음식이 '건강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또 각국에서 K-콘텐츠의 인기에 따라 한국 음식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한 것도 한몫했다는 의견도 있다.
ADVERTISEMENT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해외에서 K-드라마, K-팝 등으로 한국 식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며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한국 음식을 접했다가 이제는 익숙해져 섭취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정부와 학계는 앞으로도 세계 각국에서 쌀 가공식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교수는 "각국에서 쌀 가공식품 판매량이 더 늘어 수출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도 지난 23일 브리핑에서 "주력 시장이 앞으로도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며 "국가별로 수출 제품을 정해 우리 기업의 판촉, 바이어 매칭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쌀 가공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앞서 '제3차 쌀 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에 관한 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하고, 2028년까지 국내 쌀 가공산업 시장을 17조원 규모로 키우고 이 분야 수출액을 4억달러(약 5천400억원)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헬리’는 단순히 헬리녹스라는 회사 브랜드를 홍보해주기 위해 만든 회사 마스코트가 아닙니다. 어떤 작품을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했어요. 언젠가 이 캐릭터에 제 이야기를 담아 긴 호흡의 애니메이션을 만들 생각입니다.”세계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픽사(Pixar)에서 감독으로 활동한 에릭 오(한국명 오수형) 작가가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헬리녹스 HCC 서울 스토어에서 진행된 ‘더 블루 디어 스토리’ 행사에서 “헬리녹스라는 제품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제가 캐릭터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일치해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만든 캐릭터”라며 이같이 말했다.이날 행사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아웃도어 의자 브랜드인 ‘헬리녹스’의 첫 캐릭터 ‘헬리’를 공개하는 자리였다. 헬리는 오 작가가 코로나19로 많은 사람이 암울해 했던 2021년 라영환 헬리녹스 대표와 의기투합해 4년 만에 선보인 브랜드 캐릭터다.국제무대에 알려진 애니메이션 작품을 만들어온 그가 갑작스럽게 헬리녹스라는 국내 기업의 브랜드 캐릭터 제작에 참여했다는 말에 조금은 의아했다. 그동안의 커리어와 다소 이질적인 느낌이 드는 대목이다. 그는 “코로나19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고 함께 있지도 못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슬픔에 빠져있는 시기였다”며 “그럴 때일수록 자연에 들어가 고요히 호흡하며 시간을 보내는 어떤 개체를 만들고 싶었고 오랜 시간 끝에 푸른 사슴 헬리가 탄생했다”고 설명했다.에릭 오 작가는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출신 미디어 아티스트다. 서울대에서 회화를 전공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대(
'대한민국의 데이터베이스(DB)' 인구주택총조사가 오는 10월 시작된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다문화가구 및 1인 가구 증가를 고려해 한국어 실력과 가구 내 사용언어, 결혼 계획 및 의향을 새로 조사할 계획이다.통계청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5 인구주택총조사’ 실시 계획을 발표했다.인구주택총조사는 1925년 최초로 시작해 올해 100년이 된 국내 최고(最古) 통계다. 인구주택총조사는 통계법에 근거해 5년에 한 번씩 실시된다. 정부가 국가 단위로 실시하는 조사 가운데 표본 규모가 가장 크다.인구주택총조사는 조사 기준 시점(11월 1일) 현재 한국 영토 20% 표본조사구 내 상주하는 모든 내·외국인과 이들이 사는 거처가 대상이다. 조사 대상을 가구 수로 환산하면 약 500만가구에 이른다. 인구주택총조사가 국가 정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는 이유다. 조사에 동원되는 인력과 예산도 상당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 동원되는 요원만 약 3만명으로, 예산 1146억원이 쓰인다. 조사 결과는 내년 11월에 공표된다.조사 주관기관은 통계청, 실시기관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맡는다. 10월 22~31일엔 인터넷과 전화조사 방식으로, 11월 1~18일엔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방문 면접조사 기간에도 인터넷이나 전화조사로 참여할 수 있다.인구총조사 조사항목은 시대 변화에 따라 늘 바뀌어왔다. 인구총조사가 처음 시작된 1925년엔 성명과 성별, 출생연월, 배우 관계, 본적(국적)이 조사 항목이었다. 1930년엔 세대에서의 지위와 읽고 쓰는 정도(가나, 한글) 등과 더불어 직업을 처음으로 묻기 시작했다.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엔 인구 파악을 시급하게 하기 위해 1950
면세업계가 올 하반기 본격 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세를 보이는 데다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정책 시행을 앞두면서다.다만 구매력 회복이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방문객 수는 늘었지만, 구매 금액은 줄었기 때문이다. 3분기를 기점으로 매출 확대를 전망하는 면세업계는 외국인 관광객 모객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3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1~5월 방한 외국인 관광객은 721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늘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도 넘어선 수치다. 같은 기간 1~5월 누적 외국인 관광 소비는 3조 6062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827억원) 대비 9.9% 증가했다.다만 면세점 매출은 2790억원에서 2819억원으로 1% 증가에 그쳤다. 소비가 늘었지만, 면세점 매출로 연결되진 않는 셈이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여행 트렌드가 단체 관광에서 개별 여행으로 바뀌면서 면세점 대신 한국인이 자주 찾는 로드숍을 찾는 탓이다. 특히 젊은 층 여행객 사이 올리브영·다이소 등을 찾는 수요가 늘고 있다.전체 여행객 가운데 0~39세 외국인 관광객은 올해 1~5월 기준 392만8996명이다. 40세 이상 관광객(276만3814명)을 넘어섰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도 0~39세 관광객은 18.2%로 40세 이상(9.9%)을 앞서고 있다.면세업계는 3분기 시행 예정인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 대상 한시적 '비자 면제' 조치에 기대를 걸고 있다. 유커의 '싹쓸이 쇼핑' 수요가 늘어날 수 있어서다. 단체관광객은 면세점을 중심으로 서울 관광에 나서는 만큼 업계의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신세계면세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보험사 단체, 대형 크루즈 관광단, K뷰티 기반 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