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반도체가 내부에 포함돼 있는 칩 모습(점선 안). KAIST 제공
KAIST 연구팀이 최근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자체 개발했다. AI 반도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 제품보다 전력을 600배 이상 적게 쓰면서 크기는 더 작은 게 특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유회준 KAIST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교수팀이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장치(GPU) ‘A100’ 모델보다 전력은 625배 적게 쓰고, 크기는 42분의 1에 불과한 AI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해 오픈AI의 GPT-2 모델을 구동시킨 결과 언어를 생성하는 데 0.4초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사용된 전력량은 400mW(밀리와트)였다. 유 교수는 “이론 단계에 머물러 있던 고성능 초저전력 AI 반도체를 실제로 구현하고, GPT-2를 구동시켰다는 점, ‘온디바이스 AI’의 솔루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 전기차 등 기기에서 직접 AI를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다. 데이터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기에서 바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보안 측면에서도 안전해 많은 기업이 관심을 보이는 분야다.
다만 그간 개발된 AI 반도체는 전력 소모가 너무 커 온디바이스 AI로 이용하기에 제약이 많았다. 유 교수는 “현재 상용화된 퀄컴의 최신 AI 반도체도 GPT-2를 구동하기 어렵다”며 “이번에 개발한 AI 반도체를 갤럭시 S24에 연결해 GPT-2를 구동시킨 결과 무리없이 작동했다”고 했다.
이렇게 저전력을 소모하는 AI 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은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뇌는 ‘뉴런’이라고 불리는 신경세포 간 전기적 신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특정 입력값이 주어졌을 때만 신호를 발생하고,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뇌 전체가 아닌 일부 부위만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다. 현재 연구팀은 향후 본격적인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삼성과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초등학교 등교길의 '떡볶이', '오뎅', '핫도그' 사다리 반도체'가 '뭘 먹어야 할지 기생집에 널브러지게 차려놓은 뷔페 반도체'보다 전력 소모가 낮다, 왜냐하면 '플라스틱'처럼 전자 '터널링' 외에도 이동하는 전자 차폐가 더 용이하기 때문에', 맨날 그 얘기입니다, 반도체학과. '뭘 먹고 사는지 들여다 다 보고 '메뉴를 다 넣은 사다리를 만들자' 경영학과하고 다르겠죠.
2024-03-07 13:38:51
국립국어원에 문의해보자! 몇배를 적게 쓴다 라는 표현이 맞는거냐고~~
2024-03-07 13:24:20
잘 되면 좋겠지만, 이런 종류의 기사가 워낙 많다. 엔비디아가 cuda를 자사 플랫폼으로 제한하다는 것이 성능도 중요하지만,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정말 중요하다.
2024-03-07 13:22:45
수고 많으십니다. 여러분들 덕분에 우리나라가 먹고삽니다. 뭐하나 도움도 안되는 의 사 들은 이 기사를 보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2024-03-07 12:35:15
의대인기에눌러그렇지 원래 서울대 공대가 의대 위에 있었지 카이스트는 국가기술의 자랑 자부심이었고 공대 만쉐이!!!
2024-03-07 11:45:38
내가 70평생을 살아오면서 카이스트에서 획기적인 제품 개발했다는 기사를 수없이 많이 보고...또 관련업체 주가가 상한가를 몇번씩 맞았다는걸 보긴햇는데..정작 제품이 제조되서 시판됬다는거는 단 한번도 못봤다..전부 사기만 쳐서 주가 튀겨서 먹고 튀어서 그런가?
2024-03-07 11:27:35
좌파 지지층은 최저임금 급인상이 자신에게 득인지 실인지조차 분별 못하는 저지능족. 기업 쫓아내는 노란봉투법이 서민에 미치는 재앙조차 깨닫지 못하는 수준,
그 ‘저지능족’들을 모아 숫자로 이겨버리는게 좌파 전략, 좌파 구심점이 ‘반미,반일’인데 그리 믿게 만든 한국사 교과서 80%는 소설. 강점,수탈,학살,임진왜란,명성황후,위안부,징용 등 일본 관련 한국사 98%는 소설.
이 진실만 알려져도 좌파는 붕괴한다. ‘한국의 역사조작 이념사기극’ 검색 https://blog.naver.com/smrbooks/222701149249
2024-03-07 10:24:33
의대 지원과 공대 지원을 동시에 못하도록 입시제도를 바꿔라. 의대 보다 공대가 홀대 받는 현실이 대한민국을 암울하게 한다.
2024-03-07 09:29:52
좋은 일인것은 분명하나, 왜 엔디비아와 성능을 비교하지 않고 크기랑 전력만 비교 했는지 궁금해서 더 차분히 기다려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언론을 잘 이용하는 연구자의 말들이 다 실현됐다면 벌써 암은 정복되고, 불로장생을 누리고 있었을 것이다.
댓글 17
추천 많은 댓글
2024-03-07 07:37:54
'...전력은 625배 적게 쓰고...' '배'와 '적게 쓰고'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 표현. '...625분의 1정도로 적게 쓰고...'라고 해야 어울리는 표현.
2024-03-07 07:25:46
기실 이공계가 의사를 압도하는 실황을 중계하고 있습니다. 이공계 인재들은 정신 바짝 차리고 진로를 결정하세요.
2024-03-07 08:40:20
훌륭하다 대학의 진자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의 자랑스런 기업 삼성과 적극협력하여 더 좋은 결과가 나오길 기도한다 개발에 참여하신 모든 과학자분들 국민이 감사드립니다!